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금

취업애로청년 채용 지원금 내용 및 신청 방법

by 세일즈 챔프 100 2025. 5. 16.
반응형

취업애로청년 채용 지원금 내용 및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취업애로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유지시 최대 720만원 지원합니다. 지원대상은 만 15세~34세의 취업애로청년입니다.

 

 

✅ 지급 금액

 

취업애로청년 우선지원 제도는 청년과 기업 모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청년은 정규직으로 취업 후 3개월 및 6개월 근속 시 각각 100만 원씩, 최대 200만 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업은 청년 1인당 월 최대 60만 원씩 최대 12개월간 총 720만 원의 인건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2025년부터는 청년 근속 인센티브가 조기 지급되어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시점에 각각 120만 원씩 총 48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청년들의 장기 근속을 유도하고 안정적인 고용을 지원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지급 항목 지급 금액 지급 조건
청년 지원금 3개월 근속 시 100만 원
6개월 근속 시 100만 원
총 200만 원
정규직 취업 후 해당 기간 근속
기업 지원금 월 최대 60만 원
최대 12개월
총 720만 원
청년 정규직 채용 후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청년 인센티브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시점에 각 120만 원
총 480만 원
청년이 해당 시점까지 근속 시 지급



✅ 유효기간

취업애로청년 채용지원금

취업애로청년 우선지원 제도의 신청 기간은 2025년 1월 1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입니다. 단,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므로 빠른 신청이 필요합니다.

 

청년은 정규직 채용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사업 참여 신청을 완료해야 하며, 지원금 신청은 각 회차별로 정해진 기간 내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2025년 3월 1일에 취업한 청년은 3개월 근속일인 2025년 6월 1일부터 9개월 되는 날까지 1차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으며, 6개월 근속일인 2025년 9월 1일부터 10개월 되는 날까지 2차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 인센티브는 근속 시점에 따라 신청할 수 있으며,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근속 시점에 각각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 기한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확인 방법

취업애로청년 채용

 

대상자 확인은 위 버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후 마이페이지에서 신청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신청 상태는 '신청 완료', '보완 요청', '승인 완료' 등으로 표시됩니다.

 

신청 후 보완 사항이 발생할 경우, 모든 보완이 완료되어야 승인이 가능하므로, 제출한 서류를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승인 후에는 고용센터의 지급 의뢰를 거쳐 지원금이 지급됩니다.

 

지급 일정은 고용센터의 지급 의뢰일로부터 영업일 기준 3주에서 최대 한 달이 소요될 수 있으며, 보완 사항이 있을 경우 더 지연될 수 있습니다.



✅ Q&A

 

Q1. 취업애로청년 우선지원 제도는 어떤 기업이 신청할 수 있나요?

 

A1. 상시근로자 5인 이상인 우선지원대상기업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지식서비스산업, 문화콘텐츠산업, 신재생에너지산업 관련 업종, 청년 창업기업, 미래유망기업, 지역주력산업 등에 해당하는 기업은 5인 미만이어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Q2. 청년 인센티브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A2. 청년 인센티브는 청년 본인이 고용24 누리집에서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 근속 시점(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에 맞춰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 시 근로계약서, 재직증명서, 급여이체 내역 등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Q3. 지원금을 부적절하게 사용하거나 자격이 상실되었을 경우 어떤 제재가 있나요?

 

A3. 지원금을 부적절하게 사용하거나 자격이 상실되었음에도 고지하지 않고 수령한 경우, 지급이 중단되거나 이미 지급받은 수당의 전액 또는 일부 금액이 환수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해당 프로그램에 재참여가 제한될 수 있으므로, 사용 목적에 맞게 지원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