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

고객이 먼저 연락, 반가움, 감정, 존재감 고객이 먼저 연락영업을 하면서 가장 기분 좋은 순간은 언제일까요?물론 계약이 성사되는 순간도 좋지만,저는 “고객이 먼저 연락해오는 순간”을 가장 특별하게 여깁니다.그것은 단순한 영업의 진전이 아니라,신뢰가 성과로 전환되는 결정적인 순간이기 때문입니다.이번 글에서는제가 실제로 경험했던 한 통의 전화 이야기,그리고 그 뒤에 숨어 있는 신뢰의 리듬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1. 반가움국내 대기업 계열의 한 패션 브랜드로부터 제안 요청을 받았습니다.고객사도 만족했고, 미팅 분위기도 좋았습니다.그런데 어찌 된 일인지,프로젝트가 내부 사정으로 지연되더니 결국 흐지부지 종료되었습니다.보통 여기서 연락을 끊는 영업도 많겠죠.하지만 저는 고객 담당자의 질문에 성실히 응답하고,진행 여부와 관계없이 꾸준히 팔로업을 .. 2025. 4. 19.
실패한 영업, 경험, 다시 도전, 기회 실패한 영업 – 회복탄력성과 다음 스텝누구나 성공하고 싶습니다.영업을 하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습니다.그러나 현실은 늘 우리 뜻대로 되지 않죠.완벽히 준비했다고 생각했던 제안이 거절당하고,정성을 다했음에도 불구하고“이번엔 다른 회사를 선택했습니다”라는 말을 듣기도 합니다.그럴 때 우리는 마음이 아픕니다.아무렇지 않은 척 하지만,속으로는 낙심하고, 때로는 위축되기도 하죠.저 역시 그런 경험이 있습니다.그리고 그 실패의 순간을 통해“실패는 무너지는 것이 아니라, 다시 설계하라는 신호”라는 사실을 배웠습니다.이번 글에서는실패한 영업 이후에 제가 어떻게 회복하고 다시 성공으로 이어갔는지,그 실전적인 경험을 나눠보겠습니다. 1. 경험한 대기업 외식 프랜차이즈 웹 리뉴얼 제안에 참여한 적이 있습니다.상당히 자.. 2025. 4. 19.
영업하며 배웁니다. 사람, 역지사지, 감각 영업하며 배웁니다. – 일상에서 배우는 설득의 감각많은 사람들이 영업을 직무, 혹은 성과를 위한 기술로 여깁니다.하지만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영업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사람을 이해하고 관계를 만들어가는 감각의 훈련이라고 믿습니다.그래서 저는 늘 후배들에게 이렇게 말합니다.“영업을 따로 배우지 말고,일상에서 설득의 감각을 먼저 느껴보라.”이번 글에서는제가 실제 제자들과 함께 했던 훈련,그리고 일상 속에서 얻은 설득의 통찰들을 나눠보겠습니다. 1. 사람우리는 하루에도 수없이 많은 설득을 주고받습니다.직장 동료에게 일정 조율을 하고,가족에게 메뉴를 제안하고,친구에게 약속 장소를 조율합니다.이 모든 게 사실은작은 ‘영업’의 순간들입니다.예를 들어,아이에게 책을 읽게 하려면“읽어!”라고 하기보다,“.. 2025. 4. 18.
영업은 논리가 아닙니다. 주인공, 고객, 신뢰 영업은 논리가 아닙니다. 영업을 오래 하다 보면 깨닫게 됩니다.고객은 숫자나 기능, 논리로 설득당하지 않습니다.물론 그것들이 기본이 되긴 하지만,최종 선택의 순간에 고객이 반응하는 건 ‘온도’입니다.논리가 부족해서가 아니라,너무 ‘나’만 이야기했기 때문에 놓쳤던 계약.그 경험을 하고 나서 저는 영업의 방식이 완전히 달라졌습니다.이번 글에서는한 번의 뼈아픈 실패와, 그 후 바뀐 태도 덕분에 성공한 경험을 바탕으로관계 중심 영업에서 왜 ‘온도’가 중요한지를 나눠보려 합니다. 1. 주인공은 누구?사업 3년 차 무렵이었습니다.그동안 대기업, 글로벌 브랜드 프로젝트들을 연달아 수주하면서솔직히 어깨에 힘이 좀 들어가 있었던 시기였습니다.어느 날,코스닥 상장기업 한 곳을 소개받게 되었습니다.제가 그동안 자신 있게.. 2025. 4. 18.
“생각해볼게요” 의미, 흐름, 신호 “생각해볼게요”영업을 하다 보면 정말 자주 듣게 되는 말이 있습니다.“생각해볼게요.”딱 잘라 거절하는 것도 아니고,지금 당장 진행하겠다는 것도 아니고,뭔가 여운을 남기는 말입니다.그런데 이 말,그대로 믿고 기다렸다가 연락 오는 경우는 얼마나 될까요?냉정하게 말하면, 많지 않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제가 실제로 후배에게 했던 코칭을 바탕으로“생각해볼게요”라는 말의 심리,그리고 그 순간 세일즈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1. 의미예전에 함께 일했던 30대 초반의 후배가 있었습니다.성실하고 진중한 성격의 친구였죠.그런데 어느 날, 고객 미팅을 마치고 이런 보고를 하더군요.“대표님, 고객이 생각해본다고 해서 연락을 기다리기로 했습니다.”저는 그 친구를 조용히 불러서 물어봤습니다.“고.. 2025. 4. 17.
임원의 반발, 상무 등장, 재설계, 태도 임원의 반발영업을 하다 보면분명히 실무자와의 소통도 원활했고,대표이사에게까지 보고가 올라가 승인이 났는데도,갑자기 중간에 있는 임원이 제동을 거는 상황이 벌어지곤 합니다.그럴 때 나오는 말이 있죠.“이 프로젝트, 누가 승인한 거죠?”그 말에는 두 가지 의미가 숨어 있습니다.첫째, 승인 구조를 내가 모른 채 진행했다는 당혹감.둘째, 내부 커뮤니케이션에 금이 간 것 같다는 불안감.이번 글에서는 제가 실제로 겪었던실무자→대표 승인 구조에서, 중간 상무가 반발했던 사례를 통해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흐름을 바꾸고 신뢰를 회복했는지 공유드리려 합니다. 1. 상무 등장어느 대기업 프로젝트였습니다.실무자와 여러 차례 논의 끝에제안은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고,그 실무자가 대표에게 직접 보고를 올려 승인을 받았습니다.그런.. 2025.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