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업왕

프로젝트 위기, 대응, 책임, 소통

by 세일즈 챔프 100 2025. 4. 26.
반응형

프로젝트 위기 대응 전략

프로젝트 위기 시  – 문제는 피할 수 없지만, 신뢰는 지킬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를 오래 하다 보면
단 한 번도 문제가 없었던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일정 지연, 예상치 못한 오류,
내부 리소스 문제, 외부 변수까지…

위기는 언제든 찾아옵니다.

하지만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문제가 생기는 건 당연하다.
중요한 건 그 순간,
신뢰를 지키는 태도다."

저에게는 위기 상황에서 반드시 지키는
두 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바로 “빠른 응대”와 “전사적 문제해결”입니다.

 

 

 

1. 대응

과거 한 번,
예상치 못한 이슈로 프로젝트 일정에 차질이 생긴 적이 있습니다.

그때 팀원들이 모여서
"일단 해결책을 찾고 보고드리자"고 했지만,
저는 바로 고객에게 연락했습니다.

"팀장님, 현재 이런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저희가 즉시 대응 중이며,
조속히 해결 방안을 공유드리겠습니다."

이렇게 빠르게 인지하고 대응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고객은 큰 불안을 덜어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문제를 숨기거나 미루려 하지만,
위기는 숨길수록 신뢰를 잃게 됩니다.

빠른 인정과 즉각적인 대응
오히려 신뢰를 지키는 첫 걸음입니다.

 

 

 

2. 책임

저는 위기가 발생하면
절대 담당자 혼자 해결하게 두지 않습니다.

바로 전사적으로 대응 체제를 가동합니다.

  • 대표인 저부터 직접 나서고,
  • 필요한 전문 인력을 모두 소집해서,
  • 회사 전체가 움직이는 모습을 고객에게 보여줍니다.

이렇게 하면 고객은 말합니다.

"이렇게 빠르게, 이렇게 진심으로 대응해주는 업체는 처음입니다."

그 순간, 고객의 태도가 달라집니다.
단순한 공급업체가 아니라,
진정한 파트너로 바라보게 됩니다.

고객은 완벽한 프로젝트보다
문제가 생겼을 때 책임지고 끝까지 해결하는 파트너를 원합니다.

 

 

 

3. 소통

문제가 생기면
연락을 피하거나 보고를 미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저는 오히려
소통 빈도를 두 배로 늘립니다.

  • 매일 상황을 공유하고,
  • 어떤 조치를 했는지 설명하고,
  • 예상 복구 일정과 대안을 꾸준히 전달합니다.

이렇게 하면 고객도
"우리가 방치되지 않았구나"라는 신뢰를 갖게 됩니다.

위기 상황에서는
침묵 = 불신입니다.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이
불안을 잠재우고, 관계를 지키는 핵심입니다.

 

 

 

결론, 프로젝트 위기 시 대응은 책임있는 소통입니다.

프로젝트에 변수가 생기는 건 피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그 순간 보여준 대응과 태도는
오히려 신뢰를 더 단단하게 만드는 기회가 됩니다.

저는 후배들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문제 없는 프로젝트를 목표로 하지 마라.
문제가 생겼을 때 고객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
그게 진짜 프로페셔널이다."

빠르게 응대하고,
전사적으로 책임지고,
끊임없이 소통하세요.

그러면 위기가 지나간 후,
고객은 반드시 이렇게 말할 겁니다.

"역시 당신이라서 믿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함께 가고 싶습니다."

 

반응형